vi /etc/network/interfaces

auto ens33
iface ens33 inet static
address xxx.xxx.xxx.xxx
netmask xxx.xxx.xxx.xxx
gateway xxx.xxx.xxx.xxx
dns-nameservers xxx.xxx.xxx.xxx

각각 알맞게 입력


sudo apt-get install libc6-dev-i386
sudo apt-get install gcc-arm-linux-gnueabi
sudo ln -s /usr/bin/arm-linux-gnueabi-gcc /usr/bin/arm-gcc
sudo cp /usr/arm-linux-gnueabi/lib/ld-linux.so.3 /lib
sudo cp /usr/arm-linux-gnueabi/lib/libc.so.6 /lib
sudo cp /usr/arm-linux-gnueabi/lib/libgcc_s.so.1 /lib

컴파일 방법
x86 : gcc -o a a.c -m32

arm : arm-gcc -o a a.c


보통 우리가 우분투를 설치할 때 한글로 디렉토리가 되어있는 경우가 대다수일것이다.

(아닌 사람도 있겠지만..)


이게 셸이나 원격으로 사용시에는 좀 불편한 면이 굉장히 많으므로

영어로 바꿔보겠다.


우선 아래와같이 타이핑하고 

cd ~/

vi ~/.config/user-dirs.dirs



그럼

XDG_DESKTOP_DIR="$HOME/바탕화면"

XDG_DOWNLOADS_DIR="$HOME/다운로드"

XDG_TEMPLATES_DIR="$HOME/템플릿"

XDG_PUBLICSHARE_DIR="$HOME/공개"

XDG_DOCUMENTS_DIR="$HOME/문서"

XDG_MUSIC_DIR="$HOME/음악"

XDG_PICTURES_DIR="$HOME/사진"

XDG_VIDEOS_DIR="$HOME/비디오"


와 같이 되어있는 부분이 있을텐데

이것들을


XDG_DESKTOP_DIR="$HOME/Desktop"

XDG_DOWNLOADS_DIR="$HOME/Downloads"

XDG_TEMPLATES_DIR="$HOME/Templates"

XDG_PUBLICSHARE_DIR="$HOME/Public"

XDG_DOCUMENTS_DIR="$HOME/Documents"

XDG_MUSIC_DIR="$HOME/Music"

XDG_PICTURES_DIR="$HOME/Pictures"

XDG_VIDEOS_DIR="$HOME/Videos"


으로 전부 바꾼다


그리고 나서 


mv 바탕화면 Desktop

mv 다운로드 Downloads

mv 템플릿 Templates

mv 공개 Public

mv 문서 Documents

mv 음악 Music

mv 사진 Pictures

mv 비디오 Videos


위 명령어들을 모두 입력하면 끗


VM버젼 : 12

설치한 우붕이 버젼 14.04.4

설치는 동일하게 진행하고 이후 설정 메모

sudo passwd root // root암호 지정

sudo apt-get install vim // 보기편하게하려고 vim 업뎃

(데스크톱으로 깔아서 그런지 인터페이스 치트? 써서 VMtools 설치)

reboot

sudo apt-get install ssh // ssh설치

vi /etc/ssh/sshd_config // ssh에서 root 허용시키려고..

PermitRootLogin 뒤 항목을 yes로 변경 후 저장

service ssh restart

reboot

--------------------------------------------

일단 여기까지...


생각 외로 조금 어려웠다.


기본적으로 NAT를 사용할것이고, 내 VMware의 사설IP들은 192.168.111.XXX이다.



본론으로 넘어가서


내 우분투의 사설 IP는 192.168.111.131이다.

그리고 보통 웹서버의 포트는 80번을 쓰는게 일반적

외부에서 들어오는 포트는 1131을 사용할 것이다.



VM네트워크 설정으로 와서



VMnet8을 선택후 NAT Settings를 들어가서 Add를 누른다.



Host 포트 : 외부에서 입력받을 포트(나는 1131번을 쓰겠음)

타입 : TCP가 일반적

Virtual machine IP address : 어느 게스트 IP로 보내줄것인지 표시

(여기서는 내가 포워딩 하려는 우분투 웹 서버 IP)

Virtual machine 포트 : 웹 서버를 쓸 거기 때문에 80

Description : 설명



OK 클릭


그리고 제어판 -> 방화벽 -> 고급설정 가서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규칙에 새규칙을 추가함.



여기가 끝이아니라 추가로 공유기를 사용한다면 공유기도 포워딩 해줘야함.


나같은 경우에는 netis 공유기를 사용함



사진은 찍지 못했는데


간단히 IP는 현재 사용중인 Host IP로 해주고, 외,내부포트는 내가 여기서는 1131로 설정해놨기 때문에 1131로 하면된다.

+ Recent posts